너와함께 생활과 건강

반려동물 의무등록 바로알기

아시내 2023. 9. 18. 14:37
반응형

반려동물 등록 의무, 방법과 절차, 비용은 알아보기

반려동물 등록 제도란

반려동물 등록 제도는 반려동물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증가되는 유기동물을 보호하기 위해 시행된 법률을 말합니다. 반려동물 등록 제도는 2008년부터 시·도에서 선택적으로 시행되다가 2013년 1월 1일에 전국으로 확대되었으며, 2014년 1월 1일부터는 동물등록제란 이름으로 자리잡으며 반려견 등록이 의무화되었습니다. 동물등록제는 동물보호법상 3개월령 이상의 반려견에 대해 등록을 의무화하는 제도이며, 이에 따라 견주는 내장칩, 외장칩 혹은 인식표 중 한 방법으로 반려견을 등록해야 합니다. 미등록 시 최고 10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기존부터 의무적으로 시행되던 제도였지만 홍보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몰랐던 분들이 많을 텐데요. 농림축산식품부는 동물등록을 활성화하고자 아직 반려견을 등록하지 않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7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자진신고 기간을 운영합니다. 이번 자진신고 기간 내에 동물등록을 하거나 등록동물의 변경 정보를 신고하면 동물보호법에 따른 과태료 벌칙이 면제되는데요. 자진신고 기간 이후인 10월부터는 시·군·구별로 동물미등록자와 동물 정보 변경 미신고자를 집중적으로 단속하고 과태료를 부과합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동물등록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자진신고 기간 운영과 동시에 내년 3월부터는 의무 등록 월령을 3개월에서 2개월로 낮출 예정이며, 앞으로는 동물 소유자의 등록 관련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반려동물 구매와 동시에 등록이 이뤄지도록 제도를 개선할 예정입니다.

내장형 무선식별장치란 

내장형 무선식별장치는 흔히 마이크로칩 혹은 내장칩이라는 이름으로 불립니다. 내장칩 형태의 등록 방법은 반려동물 등록 방법 중 가장 흔히 사용되는데요. 내장형 칩이라고 해서 컴퓨터에 꽂는 것과 같은 칩이 삽입되는 것은 아니라 쌀 한 톨보다 약간 크거나 비슷한 크기의 매우 작은 사이즈의 칩이 사용됩니다. 보통 내장칩은 강아지의 뒷목 주위나 견갑 부위에 삽입하게 되는데 근육과 피부 사이에 삽입하게 되어 약간의 이동은 있을 수 있지만 흔히 걱정하는 것과 같이 심한 이동은 거의 희박하고, 부정적인 영향이 있지는 않습니다. 또한 동물등록제 시행 초기 불량 마이크로칩이 공급됐던 적이 있어 칩이 깨지거나 위치가 바뀌는 등 여러 가지 부작용이 발생하여 아직까지도 이를 걱정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공급되는 마이크로칩은 제대로 된 성분으로 코팅되어 있기 때문에 부작용이 거의 없으며 실제로 현재는 내장형 칩을 삽입한 18만 마리의 반려견 중 부작용이 발생한 경우는 14건 정도에 불과했습니다. 또한 14건의 부작용 역시 단순한 부종으로 간단한 치료를 완료했습니다.

내장형 무선식별장치 등록 방법알기

내장칩은 현재 3개월령 이상의 강아지에게만 등록할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 등록을 위해서는 우선 동물보호 관리시스템 홈페이지에 방문한 후 동물등록 – 동물등록 대행업체를 클릭하여 지역을 선택하고 가까운 등록대행기관을 찾아 접수합니다. 접수 완료 후에는 동물병원에 방문하고 등록신청서 작성 및 칩을 삽입하면 등록이 완료됩니다. 등록 후 시·군·구청에 방문하여 등록번호와 소유자 인적사항을 작성하고 동물등록증을 받을수 있습니다. 단, 등록대행기관에 따라 절차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니 자세한 절차는 가까운 등록대행기관에 문의하는 것이 정확합니다. 무선식별장치는 소유자가 직접 구매하여 지참하는 경우 수수료 1만 원으로 삽입이 가능합니다.

칩 삽입 없이 반려동물 등록하기 방법 (외장형 마이크로칩과 인식표)

강아지에게 잠시나마 고통을 주는 것이 싫어 내장형 무선식별장치의 삽입을 꺼리시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런 분들은 외장형 마이크로칩과 인식표를 이용할 수 있는데요. 외장형 마이크로칩과 인식표의 경우는 취급을 하는 대행업체가 있고, 하지 않는 업체도 있기 때문에 동물보호 관리시스템 페이지에서 등록대행업체를 찾아 직접 문의해야 합니다. 인터넷을 통해 반려견을 등록하고 외장형 무선식별장치, 혹은 인식표를 구매하는경우 정식 대행업체인지를 정확히 따져봐야 하며, 등록신청서 작성 후 외장형 마이크로칩이나 인식표를 구매한 후에는 시·군·구청에 방문하여 동물등록증을 발급받아야 합니다. 외장형 무선식별장치와 등록인식표의 경우 소유자가 직접 구매하여 지참하면 수수료 3천 원으로 등록이 가능합니다.

다만 외장형 마이크로칩과 인식표는 모두 외부에 장착되는 형태로 반려견의 목줄 등에 부착하는데요. 만약 강아지를 잃어버리면서 강아지가 마이크로칩과 인식표를 잃어버리게 될 경우 찾을 방법이 없다는 단점을 갖고 있으니 이 점은 참고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반려동물 등록 비용은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책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반려동물을 등록하는 데 일정한 비용을 부과하지만, 이는 각 국가와 지역의 정책에 따라 다르므로 구체적인 금액을 일반화하기는 어렵습니다.

등록 비용은 주로 반려동물 등록 시 마이크로칩 장착 및 관리비, 등록증 발급 및 처리비, 서비스 제공에 대한 운영비 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이 합산되어 총 비용으로 결정됩니다.

따라서 해당 국가 또는 지역의 동물 보호 단체나 관할 당국의 웹사이트를 참고하여 정확한 정보와 해당 지역에서 요구되는 등록 비용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실제 등록 비용을 파악하고 준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요약정리

반려동물 등록은 반려동물의 신원을 확인하고 소유자와의 연결을 확립하는 중요한 절차입니다. 아래는 반려동물 등록을 위한 팁을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지역 법규 확인

먼저 해당 지역의 법규를 확인하여 반려동물 등록에 대한 규정과 요구사항을 파악해야 합니다. 각 국가, 지역 또는 도시마다 등록 절차와 요건이 다를 수 있으므로, 관할 당국이나 동물 보호 단체의 웹사이트에서 정보를 찾아보세요.

마이크로칩 장착 또는 외장형 마이크로칩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반려동물에게 마이크로칩 장착을 필수적으로 요구합니다. 마이크로칩은 작은 칩으로 동물의 몸 안에 삽입되며, 고유한 식별 번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번호는 주인 정보와 연결되어 동물이 잃어버린 경우 식별 및 주인과 잃어버린 동물과의 연결에 사용됩니다.

 

예방 접종 및 건강 검진

일부 지역에서는 등록을 위해 반려동물의 예방 접종 기록이나 건강 검진 결과를 제출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동물 병원이나 수의사와 상담하여 반려동물에 필요한 예방 접종 및 건강 검진을 받으세요.

 

등록 양식 작성

관할 당국이나 동물 보호 단체에서 요구하는 등록 양식을 작성하세요. 개인 정보, 동물의 정보, 마이크로칩 번호 등을 정확하게 기입해야 합니다.

 

등록 비용 지불

일부 지역에서는 반려동물 등록에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당 요금을 납부해야 등록이 완료됩니다.

업데이트 유지

주소 변경 또는 소유자 변경과 같은 중요한 변화가 있으면 해당 정보를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이는 동물을 잃어버린 경우 신속하게 연결되고 찾아낼 수 있는 중요한 조치입니다.

 

태그 및 목줄 사용

추가적인 안전 조치로, 반려동물에게 목줄과 식별 태그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는 동물이 잃어버린 경우 빠른 식별과 주인과의 연결을 돕습니다.

반려동물 등록은 반려동물의 안전과 보호를 위해 중요한 절차입니다. 해당 지역의 법규와 요구사항을 준수하며, 정확하고 완전한 정보를 제공하여 등록을 완료하세요. 또한, 등록된 정보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